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소심의 제1심 국민참여재판 판결 파기 (Vacating a Judgment of the Court of First Instance proceeding with Jury System by Appeal Court)

33 페이짿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젿작일 2010.02
33P 미보기
항소심의 제1심 국민참여재판 판결 파기
  • 미보기

    서정뵖

    · 발행기관 : 부산대학껓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1권 / 1호 / 103 ~ 135페이짿
    · 저자명 : 차정인

    초록

    이 사건 피고인은 상해치사죄로 기소되었다. 제1심 법원은 유일한 목격자 조모씨의 진술이 신빙성이 없어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하였다. 그러나 항소심에서는 목격자의 진술이 신빙성이 있다는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유죄를 선고하였다. 그러나 이 항소심의 심리왿 판결에는 주목할 만한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로, 공판중심주의의 관점에서, 제1심법원의 증인신문은 공판중심주의의 모범에 해당하는데 반하여 항소심법원은 증인신문을 하지도 않은 채 제1심법원의 판단을 뒤집었다. 더구나 항소심의 핵심 판단사항은 증인 진술의 신빙성이었다.
    진술의 신빙성은 증인의 진술태도(태도증거)를 눈과 귀로 관찰하지 않고 조서만으로 판단할 수 없다. 더구나 이 판결은 무죄를 유죄로 바꾸는 판결이다. 그러므로 항소심판결은 원심판결 파기를 위한 절차적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


    둘째로, 항소심의 구조왿 관련하여, ‘항소심은 제1심판단의 당부를 심사하는 법원이므로 항소심에서 새로운 증거를 조사하거나 제1심법원에서 조사한 증거를 재차 조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학설이 있다. 이 학설을 따르더라도 그 근본적 취지는 '제1심중심주의'에 있다.
    제1심중심주의에 따르면, 제1심증인의 진술의 신빙성 판단을 바꾸기 위해서는 제1심 판단을 수긍할 수 없는 '충분하고 납득할 만한 현저한 사정'이 있어야 한다(대법원 2007. 5. 11. 선고 2007도2020).
    그런데 증인의 신빙성에 관한 한 증인신문을 하지 않고는 충분하고 납득할 만한 현저한 사정을 알 수 없다. 이 사건 항소심은 증인신문을 하지 않은 채 이러한 판단을 내렸는데 이것은 독단이라고 생각한다.


    셋째로, 입법론적 문제제기다. 이 사건의 제1심은 배심원전원일치의 무죄평결을 그대로 수용하여 무죄를 선고하였고 항소심은 유죄를 선고하였다(영어권 독자를 위한 부가적 설명 - 한국에서는 법관의 유ㆍ무죄 판결과 양형 판결이 이분되어있지 않다. “선고”는 이 두 절차를 총칭하는 용어다. 한국은 형사절차에서 배심제도를 부분적으로 도입하였으나 영미의 배심제도왿는 달리 법관은 배심원의 평결에 구속되지 않는다).


    우리 형사소송법 제 307조(증거재판주의)는 “범죄사실의 인정은 합리적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에 이르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합리적 의심 없는 증명과 관련하여, 이 사건에서 배심원7명, 법관 3인이 ‘합리적 의심’을 가지게 되었다면 동일한 공소사실을 심리하는 항소심에서도 ‘합리적 의심’으로 취급되었어야 한다.
    영미의 배심원재판제도에서 제1심배심원이 무죄평결을 하고 나면 검사의 항소가 금지되는 이유(사고방식)도 ‘합리적 의심 없는 증명’에서 찾을 수 있다.
    합리적 의심 없는 증명의 관점에서, 앞으로 배심제도의 개정에서는 배심원의 평결과 법관의 판단이 무죄로 일치하면 검사의 항소를 금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The defendant was indicted for ‘death resulting from bodily injury’(Criminal Act, Article 259) by a public prosecutor. The court of first instance pronounced “not guilty” by judgment on the grounds that the evidence of the criminal act is insufficient because the only witness's statement, who is named Mr. Jo, is unreliable.
    On the other hand, the appeal court vacated the above judgment and pronounced “guilty” by judgment on the grounds that the only witness's statement is reliable. But there are several important issues in the appeal court's examination and judgement.


    First, from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public trial, while a witness examination in the court of first instance is exemplary, the appeal court overruled the original judgment without a witness examination. Furthermore, the main issue of the appeal court is how reliable the witness's statement is.


    It is impossible to judge reliability of witness's statements only by reading documents without observing witness's attitude in person. Moreover, the judgement of the appeal court can be considerable in reversing the “not guilty” judgement to “guilty” one. Thus, the judgement of the appeal court is not matched to the procedural condition that is required in vacating the original judgment.


    Second, concerning to the structure of appeal court or its character, an influential scholar opinion says that it is not desirable for appeal court to examine a new or same evidence because the main function of appeal court is to judge whether the judgement of the court of first instance is proper or not. This opinion is totally right because its fundamental policy is ‘centralism of the court of first instance’.


    According to ‘centralism of the court of first instance’, in order to overrule an original judgment about reliability of witness's statements in appeal court, the court have to find out ‘enough, convincing and notable reasons’ that make one not to consent to the judgement of a court of first instance(the Supreme Court 2007. 5. 11. pronounced, 2007do2020 Sentence).


    By the way, so far as reliability of witness's statements is concerned, it is impossible to find out these ‘enough, convincing and notable reasons’ without witness examination. In this case, the appeal court delivered a decision that there are ‘enough, convincing and notable reasons’ without witness examination. I think that this decision is unilateral.


    Third, I want to bring up a question as ‘de lege ferenda’. In this case, the judges in the court of first instance accepted the “not guilty” of jury's verdict and delivered the “not guilty” judgment, but the appeal court delivered the “guilty” judgment.


    Criminal facts shall be proved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reasonable doubt(Criminal Procedure Act, Article 307).


    In this case, seven jurymen and three judges had reasonable doubt, and then their doubt should be regarded as reasonable one in the appeal court, too, because the charge of the defendant is same.


    In Anglo-American jury system, when the jury gives a verdict of “not guilty”, the prosecutor is not allowed to appeal the case. Because I think the main reason of that system is based on “proof beyond a reasonable doubt”.


    From the viewpoint of “proof beyond a reasonable doubt”, we had better amend our jury system in future. If a jury gave a verdict of “not guilty” and a court of First Instance pronounced the same by a judgment, it should not be allowed for a public prosecutor to appeal the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