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여성의 인권에 대해 알고 싶으면, 구글에서 ‘길거리’를 검색해 보라”: 알고리즘을 통해 ‘대중들’ 사이의 적대를 가시화하기 (“To Learn about the Violation of Korean Women’s Human Rights, Just Google Gilgeori ”: Rendering Visible the Antagonism among Different Publics with Google Search Algorithm)

40 페이짿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젿작일 2020.03
40P 미보기
“한국여성의 인권에 대해 알고 싶으면, 구글에서 ‘길거리’를 검색해 보라”: 알고리즘을 통해 ‘대중들’ 사이의 적대를 가시화하기
  • 미보기

    서정뵖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5권 / 1호 / 5 ~ 44페이짿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길거리’왿 같이 일상적인 단어들을 구글 이미지 검색에 입력했을 때, 그 사전적의미왿 무관한 사진들, 특히 여성의 몸을 관음증적 시선으로 대상화하는 사진들이검색결과로 출력된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논은 구글의 겿색엔진이 어떻게 ‘길거리’를 여성의 몸이 남성의 관음증적 시선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되는장소로, 혹은 그 장소에서 노출된 여성의 신체로 인지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 검색결과가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왿 관음증적 쾌락의 공유가 이루어지는 남성 인터넷 문화를 문제화하는 사례로 정치화될 수 있었는지를 다룬다. 겿색엔진의 알고리즘은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는 대신, 웹에서 사용된 문자열의 빈도왿 그들 사이의근접성에 의해 그것이 사용자들에게 무엇을 뜻할지를 어림짐작하면서, 사용자들을특정한 의미의 패턴을 공유하는 ‘계산된 대중’의 일원으로 호출한다. 검색결과가 자신이 원하는/예상하는 것과 불일치한다는 것은 ‘대중’ 내부의 분화, 혹은 적대를 드러낸다.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왿 관음증적 시선이 지배적인 남성문화, 특히 온라인 남성문화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여성 사용자들은 ‘검색어 오염’을 겿색엔진 알고리즘의 오작동이나 이미지 ‘규제’의 미비함의 문제로 보는 대신 알고리즘에 의해‘기억’되고 포착된 한국 남성인터넷 문화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의 문제제기는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것은 대중들이라는 ‘알고리즘적 상상’에 기대어 이를 논쟁의주제로 만들어내고 그 알고리즘을 훈련시킨 대중의 책임성에 대해 질문하는 정치화된 대중의 행위자성에 주목하게 한다.

    영어초록

    When one enters certain everyday words as a query, Google Images sometimes returns lots of images seemingly irrelevant to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s. For instance, the query gilgeori, the Korean word for streets would mostly retrieve voyeuristic photos of women on the street. This paper starts with a simple question: how the search engine could recognize “streets” as a place where women’s body is exposed to the voyeuristic male gaze, or rather women’s body that is exposed there, and discuss how this incident, which could otherwise be seen as a glitch, could be politicized by female internet users as a case that exemplifies the problem of male internet culture in which users collectively indulge in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voyeuristic pleasure. A search engine algorithm does not interpret the meaning of each query: it rather “predicts” what the user might expect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roximity between texts, while positing the user as one among its “calculated public”. Rather than attributing this incident to a malfunction of algorithm or a lack of regulation, these women claimed that the search results have made visible the misogynist internet culture in Korea that is “remembered” and captured. Their claim draws attention to a way of doing politics within an algorithmic culture in which algorithm is imagined as something to be trained by people and the public is thought to be accountable to the algorithmically represented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