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기 암 환자에서 임상변수를 이용한 생존 기간 예측 (Prediction of Life Expectanc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Clinical Parameters)

14 페이짿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젿작일 2002.12
14P 미보기
말기 암 환자에서 임상변수를 이용한 생존 기간 예측
  • 미보기

    서정뵖

    · 발행기관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5권 / 2호 / 111 ~ 124페이짿
    · 저자명 : 염창환, 최윤선, 홍영선, 박용규, 이혜리

    초록

    목적 :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생존 기간이 길어졌지만, 암 발생율과 사망율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그로 인해 말기 암 환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 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만약 환자의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면 남은 시간에 따라 환자, 가족, 의료진은 치료의 선택에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에 저자 등은 말기 암 환자에서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예후 인자를 알아내고 이들 예후 인자의 개수에 따른 생존 기간을 예측하여 말기 암 환자의 진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7월 1일부터 2001년 8월 31일 사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에 말기 암으로 입원한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입원당시 환자의 임상변수 31가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의무기록과 조사된 환자의 신상기록을 가지고 2001년 10월 31일까지의 환자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Kaplan-Meier 방법과 로그순위 검정(log-rank test)을 이용하여 임상변수에 따른 생존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Cox의 비례위험함수 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임상변수 중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유의한 변수를 얻은 후 이를 예후 인자로 삼고, 이것을 왿이블 비례위험함수 모형(Weibull proportional hazard function model)을 이용하여 예후 인자들의 유무에 따른 생존 기간의 평균, 중앙값 제 1사분위수 그리고 제 3사분위수를 계산하여 생존기간을 예측하였다. 결과 : 말기 암 환자 157명 중 성별은 남자가 79명(50.3%), 여자가 78명(49.7%)이었고, 평균 연령은 남자가 $65.1{\pm}13.0$세, 여자는 $64.3{\pm}13.7$세였다. 암의 종류를 보면 위암이 36명(22.9%)으로 제일 많았고, 폐암이 27명(17.2%), 대장암이 20명(12.7%) 순이었다. 의식변화, 식욕부진, 저혈압, 수행능력 저하, 백혈구 증가증, 중성구 증가증, 크레아티닌 증가, 저알부민혈증, 고빌리루빈혈증, 간효소(SGPT)치 증가, 프로트롬빈 시간(PT) 연장,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연장,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등을 보이는 환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 기간이 짧았다. 이중 Cox의 비례위험함수 모형을 통해 수행능력 저하, 중성구 증가증, PT 연장, aPTT 연장인 경우가 환자의 사망위험도를 높이는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왔다.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4가지 인자가 모두 있는 경우는 3.0일, 3가지만 있는 경우는 $5.7{\sim}8.2$일, 2가지만 있는 경우는 $11.4{\sim}20.0$일, 1가지만 있는 경우는 $27.9{\sim}40.0$일, 4가지 모두 없는 경우는 77일로 나왔다. 결론 : 말기 암 환자에서 수행능력 저하, 중성구 증가증, PT 연장, aPTT 연장이 사망위험도를 높이는 예후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4개 인자를 통해 말기 암 환자에서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Purpose : Although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due to advances in medicine, mortality due to cancer is on an increasing trend. Consequently, the number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s also on the rise. Predicting the survival period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treatment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ce the choice of treatment would vary significantly by the patents, their families, and physicians according to the expected survival.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rognostic factors for increased mortality risk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o help treat these patients by predicting the survival period. Methods : We investigated 31 clinical parameters in 157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dmitted to in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between July 1, 2000 and August 31, 2001. We confirmed the patients' survival as of October 31, 2001 based on medical records and personal data. The survival rates and median survival times were estim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urvival rates according to each clinical parameter.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most predictive subset from the prognostic factors among many clinical parameters which affect the risk of death. We predicted the mean, median, the first quartile value and third quartile value of the expected lifetimes by Weibull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Results : Out of 157 patients, 79 were male (50.3%). The mean age was $65.1{\pm}13.0$ years in males and was $64.3{\pm}13.7$ years in females. The most prevalent cancer was gastric cancer (36 patients, 22.9%), followed by lung cancer (27, 17.2%), and cervical cancer (20, 12.7%). The survival time decreased with to the following factors; mental change, anorexia, hypotension, poor performance status, leukocytosis, neutrophilia, elevated serum creatinine level, hypoalbuminemia, hyperbilirubinemia, elevated SGPT, prolonged prothrombin time (PT), prolonge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hyponatremia, and hyperkalemia. Among these factors, poor performance status, neutrophilia, prolonged PT and aPTT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death risk in these pati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e predicted that the median life expectancy was 3.0 days when all of the above 4 factors were present, $5.7{\sim}8.2$ days when 3 of these 4 factors were present, $11.4{\sim}20.0$ days when 2 of the 4 were present, and $27.9{\sim}40.0$ when 1 of the 4 was present, and 77 days when none of these 4 factors were present. Conclusions :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 found that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reduced survival time were poor performance status, neutrophilia, prolonged PT and prolonged am. The four prognostic factors enabled the prediction of life expectancy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의 다른 논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