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돌봄의 교수법”을 찾아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발과 국내 온라인 영문학껓육의 도전 (Searching for a “Pedagogy of Care”: The COVID-19 Outbreak and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line in South Korea)

38 페이짿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젿작일 2021.10
38P 미보기
“돌봄의 교수법”을 찾아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발과 국내 온라인 영문학껓육의 도전
  • 미보기

    서정뵖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껓 영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미연구 / 53권 / 45 ~ 82페이짿
    · 저자명 : 김유곤

    초록

    본 논은 필자가 2020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운영한 학부 온라인 영문학 수업의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에 국내 온라인 교육이 어떠한 어려움과 과제를 지녔는지 함께 점검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산대학껓 영어영학과 학부 신입생의 전공기초 교과목인 <영미시 입문>과 학부 고학년 학생들의 전공심화 교과목이자 국제어(영어)로 수업을 진행한 <영미 생태문학 읽기>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 글의 목적은 단순히 팬데믹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온라인 강의의 설계과정에서 학습자를 배려하는 민주적 소통이나 동료를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과 같은 교육의 보편적 가치왿 원칙을 실천하는 일이 훨씬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한계를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화이트보드’, 교수왿 학습자의 실시간 질의응답 활동을 돕는 ‘슬라이도’, 그리고 협업을 통해 완성하는 온라인 마인드맵 프로그램인 ‘마인드마이스터’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극복해보려는 일련의 고민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필자가 수업사례를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크게 ‘상호작용’과 ‘협력학습’이라는 대학 교수법의 보편적 원칙이며, 본문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를 팬데믹 시대의 온라인 교육이라는 문맥 속에서 각각 ‘멀리서 소통하기’왿 ‘자기주도적 협력학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은 국내 온라인 영문학껓육이 현재 응급의 단계를 넘어 팬데믹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특성과 수요에 맞춘 유연한 수업 진행방식과 함께 디지털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돌봄의 교수법”을 수업 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ue to the threat of COVID-19,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recently begun to offer online classes to help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Online education in the age of the pandemic can be best described what Charles Hodges calls “Emergency Remote Teaching” (ERT), a term that suggests the paradigm shift of instructional delivery during a crisis.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that shows the challenges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line in South Korea. The move to ERT requires that instructors take more control of the cours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at the same time, they have varying levels of digital fluency, especially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for distant learning. By sharing my experience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course with emerging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Zoom Whiteboard, Slido, and Mindmeister,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nline teaching pedagogi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 interac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and manage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Ultimately, I suggest a “pedagogy of care” for online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emphasizing that instructors should be more attentive to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motional challenges in this uncertain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