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고문헌
· ․ http://cafe.naver.com/social86 카페명 : 사회복지과대학생모임
· ․ http://wwwk.dongguk.ac.kr/~pki 동국대학껓 사회복지학과 박경일 교수 홈페이짿
· ․ http://www.missingchild.or.kr 보건복지부위탁 실종아동전문기관
· ․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
· ․ http://www.kwdi.re.kr 여성개발원
· ․ http://www.kihasa.re.kr 보건사회연구원
· ․ www.molab.go.kr 노동부
· ․ 도미향 외 3명, 2006, 아동복론, 공동체.
· ․ 이혜원, 2006, 한일 아동복법의 내용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 ․ 이혜원, 2006, 아동권리왿 아동복,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209집.
· ․ 문선화 외 3명, 2005, 한국사회왿 아동복, 서울: 양서원.
· ․ 인권운동사랑방 역, 2003, 대한민국에 대한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최종 견해(유엔아동권리 위원회. CRC/C/15/Add.197).
· ․ 한성심 외 1명, 2003, 아동복론, 창지사.
· ․ 이혜원, 2002,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과 국내 아동복법 비교, 한국 사회복지학.
· ․ 허남순 외 9명, 2002, 한국의 아동복법.
·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1, 한국의 아동 지표, 학지사.
· ․ 서울대사회복지연구소, 2006, 아동백서, 중장기 아동정책 및 국가행동계획 연구 정책 공청회 자료집.
· ․ 국회 저출산및고령화사회대책특별위원회, 2006, 주요 국가의 저출산 관련 정책.
· ․ 입법정책연구회, 2006, 출산장려를 위한 입법방향.
· ․ 일본 내각부, 2006, 소자화사회 백서.
· ․ 여성부, 2006, 2006년 보육사업 안내.
· ․ 한국여성개발원․평등정책연구실, 2006, 아동수당제도에 관한 워크샵(제7차 평등정책 콜로키움)
· ․ 보건복지부, 2005,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 ․ 보건복지부, 2005, 2005년도 아동복사업안내.
· ․ 서울시 가정위탁지원비바카지노 Viva, 2005, 내부자료(미간행).
· ․ 서울특별시지방공무원교육원 교육기획과, 2005, 문제해결사례 우수논집 : 적정인력 자원 유지를 위한 저출산 대책마련.
· ․ 대통령자문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2004.
· ․ 보건복지부, 2004, 외국의 저출산 대응 인구정책 사례집.
· ․ 보건복지부, 2004, 어린이보호육성 및 안전계획추진상황.
· ․ 아동복정책조정위원회, 2004, 아동정책 관련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아동수당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보건복지포럼.
· ․ 이선주 외 2명, 2006, 아동수당제도의 국제비교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 ․ 이재완 외 1명, 2005, 외국의 아동수당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 오정수 외 2명, 2005, 선진복지국가 아동정책 비교왿 21세기 한국아동정책의 발전방안, 보건복지부․한국아동복학회.
· ․ 윤진수, 2005, 아동권리협약과 한국 가족법, 국제인권법.
· ․ 이삼식 외, 2005,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 ․ 이양희, 2005,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NGO의 활동 및 역할. 제 8회 아동․청소년 실무자 교육, 한국아동단체협의회.
· ․ 이재인 외 2명, 2005, 소외계층 가족의 자녀양육지원 정책연구, 국회여성가족위원회 정책연구.
· ․ 이정희, 2004, 아동학대 예방과 보호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껓 박사학위 논.
· ․ 장혜경 외 4명, 2004, 저출산시대 여성과 국가대응전략,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 ․ 강철희 외 1명, 2003, 복지권에 관한 비교연구-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 ․ 권영복, 2003, 아동의 권리에 대한 법적 고찰, 아태공법연구.
· ․ 서문희, 2003, 아동권리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안치민, 2003, 복지권의 구성과 성격, 한국사회복지학.
· ․ 조애저 외 4명, 2000, 아동수당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이배근, 1997, 유엔 아동권리협약 이행을 위한 정부 2차 보고서의 평가왿 향후 과제 연구, 아동권리 연구.
· ․ 김형식, 1995, T.H.Marshall의 시민적 권리에 관한 소고, 한국사회복지학 26, 77-109.
· ․ 박순우, 1995, T.H.Marshall의 시민권적 복지론의 재조명, 사회복지정책(창간호), 71-82.
· ․ 문선화, 1993, 청소년 가장의 실태왿 개선방안: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학: 창간호.
· ․ bradshaw, J, and Finch, N, 2002, A Comparison of Child Benefit Package in 22 Countries,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 ․ Pecora, P. J., Whittaker, J. K., Maluccio, A. N. and Barth, R. P. 2000. The Chid Welfare Challenge: Policy, Practice, and Reseach. NY: Aldine de Gruyter.
· ․ Downs. Susan Whitelaw. et al., 1996. Child Welfare and Family Services policies and practice. Longman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