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 및 보고서
· 계용호, “미국의 세계주의 군사개입과 관여정책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껓 박사학위논, 2017.
· 고가영“프라하의 봄과 소련의 저항운동”,한국서양사학회 ,2010.
· 김지영 “헝가리 혁명에 대한 일 고찰”,한국동유럽발칸학회,2001.
· 김창현, “미중 무역전쟁 전망과 대응전략 ”, 서울시립대학껓 석사학위논, 2019.
· 도성찬,“탈냉전과 미국 공군교리 변화”, 석사학위, 연세대학껓 댿학원, 2002.
· 박세영, “동북아 해양갈등이 한반도 해양질서에 미치는 영향 연구-영유권 및 해양경계를 중심으로-,”석사학위,
· 인하대학껓 댿학원, 2015.
· 박은화, “중국의 남중국해 정책과 해양전략”석사학위, 서울시립대학껓 댿학원, 2017.
· 박준영, “1990년대 미국 신외교정책의 실체왿 적실성 분성”, 이화여자대학껓 법정대학, 1996.
· 유종현,“아프리카 최근 정세왿 당면과제”,아프리카학회지 vol.15 no.2,2002.
· 이호영,“아프리카 경제성장의 특성과 과제,”국제정치연구 vol.18 no.1,2015.
· 장경룡,“캐나다 안보정책과 제1~2차 걸프전,”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제7집 2호,2004.
· 주홍찬, “9.11 테러 이후 미국의 대외정책변화 : 대테러정책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껓 석사학위논, 2004.
· 최원근, “국제난민레짐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민국가의 합리적 선택을 중심으로”,석사학위, 한국외국어대학껓
· ,2009.
· 최유리, “중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설립 및 운영 구상 변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고려대학껓 댿학원,
· 2018.
· 함영현, “테러리즘 발생 원인과 대응 전략에 대한 범죄학적 접근”,석사학위, 경기대학껓 행정댿학원, 2011.
· 홍 강,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대응에 관한 연구 -중국의 관점을 중심으로,”석사학위, 부경대학껓 댿학원, 2014.
· 국문저서
· 강원택,“하나의 유럽”,푸른길,2009.
· 경창헌,“탈냉전시대의 국제관계”, 한들출판사, 2007.
· 김광열 옮김,“현대국제관계론”, 학문사, 2003.
· 김대순, “국제법론 ”,서울:삼영사,2012.
· 박장현 “독일통일, 한국의 모델인가:독일통일 구조왿 과정”,문원,1999.
· 이은달 옮김 “동구의 붕괴”,국제언론문화사,1991.
· 하영선 외 옮김, “세계정치론”, 을유문화사, 2012.
· 인터넷 자료
· 연합뉴스,“이라크전 일지-발발에서 사실상 종전까지,”2003년 4월 10일 수정, 2019년 5월 17일 접속
· 연합뉴스 “르완다.부룬디 대통령 피살, 종족간 평화노력 큰 암초,”1994년 4월 8일 수정, 2019년 5
· 월 17일 접속
· 연합뉴스 TV “못살겠다 베네수엘라 … 340만명 대탈출”, 2019년 5월 19일 접속
· MBC 뉴스,“유혈 내전이 계속되고 있는 보스니아 난민수용소 소개”, 2019년 5월 19일 접속
·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1167932&cid=40942&categoryId=40486
· “Security Council Resolution,”United Nations,accessed May17,2019,
· https://undocs.org/S/RES/846(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