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건물 실내공기환경 관리 정책 및 기술·연구 동향

"건물 실내공기환경 관리 정책 및 기술·연구 동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118 페이짿
한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7.16 최종젿작일 2018.06
118P 미보기
건물 실내공기환경 관리 정책 및 기술·연구 동향
  • 미보기

    목차

    1.서론
    1) 배경 및 목적

    2.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리 기관
    1) 국내(환경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2) 국외(미국, 캐나다, 일본, 독일, 스웨덴, 핀란드, 영국, 프랑스)
    3)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 및 연구 현황(국내외)

    3.국내외 실내공기환경 관리정책 및 기준
    1) 국내 실내공기환경 관리정책 및 기준
    2) 국외 실내공기환경 관리정책 및 기준

    4. 국내외 실내공기환경 관련 인증제도
    1) 국 내
    2) 국 외

    5. 실내공기질 오염물질 제어기술 연구현황
    1) 국내 제어기술
    2) 국외 제어기술

    6. 국내외 실내공기환경 관련 연구동향
    1) 대한건축학회
    2)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3) 한국생활환경학회
    4) JAABE

    본내용

    1.1 배경 및 목적
    실내공기질에 대한 연구는 현대인 경우 약 80~90%를 실외가 아닌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상황에 쾌적한 실내공간의 창출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면서 주로 선진 북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80년대 후반부터 실내공기질에 관심을 갖고 연구가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리 정책 및 제도를 고찰하였고, 이왿 관련한 기술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리 기관
    2.1 국내
    국내의 실내공기질 관리는 환경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등 4개 부처에서 분산관리
    ○ (환경부) 다중이용시설(어린이집, 지하역사 등 21개 신설군), 신축공동 주택 및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공기질 관리
    -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고시를 비롯해 실내공기 오염물질 방출 실험을 하는 등 실내공기에 대한 연구 진행
    - 2014년 5월, 미세먼지 예보 정확성 향상을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에 대기질통합예보비바카지노 Viva 신설
    ○ (관계부처) 교육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등은 개별법에 따라 학고, 사무실, 공중이용시설(공연장, 실내체육시설 등)등의 실내공기질 관리

    1) 미 국
    (1)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미국 내의 환경오염과 공해 방지 및 환경 대책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1970년에 설치한 환경 보전에 관한 정부기관

    ○ 12국(Office)이 있으며 12국 중 대기 및 방사선국(OAR : Office of Air and Radiation)안에 6개과(Office)로 구성

    ○ 대기, 물, 소음, 폐기물, 유해물질, 방사성물질의 6개 분야에 관하여 공해 방지의 임무를 가지며, 대기청정법(clean air act), 유해물질규제법(toxic substances control act) 등의 법률에 의한 다양한 권한이 있음

    ○ 주요업무
    ① 환경 보호를 위한 기준의 설정과 집행
    ② 오염의 영향, 오염 방지의 조사연구 및 정보 수집

    참고자료

    · 한국에서의 새집증후군에 대한 제도적 접근, 이풍삼, 2005
    · 새집증후군 처리를 위한 음이온 페인트 적용법에 대한 연구, 이철선, 2012
    · 나노 은 입자 복합소재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 신승규, 2011
    · 공동주택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곽명근, 2011
    · 정전기적 힘을 이용한 실내공기 미세부유먼지 제거 요소기술의 개발을 위한 기술별 시장현황 및 연구 동향 분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영한, 주진철, 안호상, 남숙현, 2013
    · 키토산 겔을 이용한 포름알데하이드 차폐 시트 개발, 김소연,김미소,탁상민,이지환,심소연,주은희,김성배,김창준, 2014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환경부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전 건설교통부)
    · 공중위생관리법, 보건복지부
    · 학껓보건법, 교육부(전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기술부 통합)
    · 광촉매왿 UVA에 의한 실내 부유 미생물(E. coli 및 Bacillus, subtilis sp.) 살균 제거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윤영한, 남숙현, 주진철, 안호상, 2014
    · [집중기획 실내 공기환경 개선을 위한 인증제도 및 시험방법]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제도, 설비저널, 윤동원, 2004
    ·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미국 CARB의 목질판상제품 규제방안과 국제제도왿의 비교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이정훈, 김수민, 2010
    ·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련 인증제도 비교 분석,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김선숙, 2012
    · 주택환경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조사 및 발전방향-소음진동, 서울시립대학껓, 2016
    · 국내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의 변천 및 제어기술의 현황, 한국대기환경학회지, 배귀남, 지준호, 2013
    ·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r and UV-TiO2 photocatalyst filters for simultaneous removal of gaseous and particulate contaminants in the test chamb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Park, J.H., J.H. Byeon, K.Y. Yoon, and J. Hwang, 2005
    · Reduction and removal technologies for indoor bioaerosols, Air Cleaning Technology, Bae, G.N, 2010
    · Evaluation of silver nanoparticle generator using a small ceramic heater for inactivation of S. epidermidis bioaerosols,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Ji, J.H., G.N. Bae, S.H. Yoon, J.H. Jung, H.S. Noh, and S.S. Kim, 2007
    · Characteristics on the adsorption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by an air filter coated with TiO2 for hazardous air pollut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Jung, S.G., G.N. Bae, J.Y. Jeong, and S.D. Kim, 2006
    · Assessment of adsorption capacity of sorbents for low level indoor CO2 with prepar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Kim, H.K., K.M. Lee, and Y.M. Jo, 2008
    · Review of research on air-conditioning systems and indoor air quality control for human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B.F. Yu, Z.B. Hu, M. Liu, H.L. Yang, Q.X. Kong, Y.H.Liu, 2009
    · Ozone removal by HVAC filters, Atmos. Environ. P. Zhao, J.A. Siegel and R.L. Corsi, 2007.
    · Reactions of ozone on clean, dusty and sooty plenums, ASHARE Trans, M. Hyttinen, P. Pasanen, P. Kalliokoski, 2006.
    · Efficacy of antimicrobial filter treatment on microbial colonization of air panel filters, J. Appl. Microbiol., M.C. Verdenelli, C. Cecchini, C. Orpianesi, G. M. Dadea, A. Cresci, 2003
    · Breakthrough of methylethylketone and benzene vapor in activated carbon fiber beds, J. Hazard. Mater, Z.H. Huang, F.Y. Kang, K.M. Liang and J.M. Hao., 2003.
    · Organic vapor recovery and energy efficiency during electric regeneration of an activated carbon filter cloth
    · absorber, J. Environ. Eng., K.D. Dombrowski, C.M.B. Lehmann, P.D. Sullivan, D. Ramirez, M.J. Rood., K.J. Hay, 2004.
    · Photocatalytic oxidation for indoor air purification: a literature review, Build. Environ, J. Zhao., X. Yang, 2003.
    ·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coating of indoor materials of TiO2 Photocatalyst sol,Kor. J. Env. Hlth., 30(2), W. H. Yang, D. W. Kim, M. H. Chung, J. S. Yang., K. S. Pakr, 2004.
    · Effect of calcination and reduction treatment on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CO oxidation on Pt/TiO2, J. Mol. Catal., A: Chem, 225, M. Zhang, Z. S. Jin, J. W. Zhang, Z. J. Zhang, H. X. Dang., 2005.
    · Campos. Degradation of humic acid by photocatalytic reaction using nano-sized ZnO/laponite composite (NZLC), Water Air Soil Pollute, J.K. Kim, J. Alajmy, A.C. Borges, J.C. Joo, H.S. Ahan, L.C., 2005
    · Particle removal by electrostatic and dielectrophoretic forces for dust control during lunar exploration missions, J. Electrostatics 67, C.I. Calle, C.R. Buhler, J.L. McFall, S.J. Snyder., 2009.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뵖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왿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