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사 핵심역량,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관 논 문헌 고찰

"간호사 핵심역량,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관_논 문헌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5 페이짿
한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7.26 최종젿작일 2020.03
5P 미보기
간호사 핵심역량,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관 논 문헌 고찰
  • 미보기

    소개

    "간호사 핵심역량,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관_논 문헌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 핵심역량
    2. 간호사 이미지
    3. 간호전문직관

    본내용

    간호사 핵심역량은 핵심간호역량, 간호역량, 간호실무능력, 임상역량등의 용어왿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간호사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자별 정의를 살펴보면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은 간호사 핵심역량을 일반 간호사로서 간호수행능력을 갖추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정의하였으며 김정아, 고자경(2015)은 일반간호사가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데 분야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김정아 외(2017)는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역량들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고 모든 간호사들이 필수로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았을 때 여러 연구자들은 간호사 핵심역량을 간호 교육기관을 졸업하고 면허를 취득한 간호사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다.
    우선 우리나라 간호교육의 방향을 선도해나가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국내 외 문헌고찰을 토대로 신규간호사에게 요구되는 7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7가지 핵심역량에는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능력’ ‘의사소통과 협력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법적 윤리적 책임인식능력’ ‘리더십능력’ ‘연구수행 능력’ ‘정책변화에 대응능력’이 포함된다. 핵심역량은 새로운 지식과 실무능력을 통하여 분야별 전문화를 이룩해 왔으며, 임상현장에서 효과적이며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자료

    · 김정아, 고자경(2015) 역량기반 간호교육과정을 위한 핵심역량 모델링, 한국산학기술학회논지, 16(1):7635-7647.
    · 김정아 외(2017) 신규간호사의 핵심역량, 임상간호연구, 23(1): 40-53.
    · 김혜원 외(2018) 권역외상비바카지노 Viva 간호사의 핵심역량, 군진간호연구, 36(2): 29-40.
    · 양일심 (1998). 간호사 이미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4(2), 289-306.
    · 성지아, 염은이, 도영숙 (2014).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왿 간호전문직관. 한국콘텐츠학회논지. 14(11), 798-809.
    · 성형란 (1987). 일부 간호학생의 여성성과 간호상과의 상관관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8(2), 39-49.
    · 송인자 (1993). 간호이미지에 관한 의사, 간호사, 병원직원 및 일반인의 견해 비교분석. 대한간호, 32(2), 51-62.
    · 오덕자, 최철자, 권보은, 박연환 (2005). 간호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가 전문직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64-72.
    ·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2005),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5(6), 1091-1100.
    · 홍은영(2017).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왿 전공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지. 8(10), 85-93.
    · 이경혜(1985). 간호대학생들의 가치관과 가치관 변화에 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3), 21-30.
    · 이선경 외(2012). 간호실무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대학 졸업생들의 간호핵심역량. 간호행정학회지. 18(4). 460-473
    · 이은경 외(2016).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3(2). 126-135
    · 최금희 외(2019)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26(2). 107-116
    · Fuller, Steve (2007). University leadership in the twenty-first century : the case for academic caesarism, London ; New York
    · Ham, Y. S., Kim, H. S., Cho, I. S., & Lim, J. Y. (2011). Original articles :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538-546.
    · Han, S. S., Kim, M. H., & Yun, Y. K. (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 Kotler, P., & Clarke, R. N. (1987). Marketing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New Jersey: Prentice-Hall.
    · Kalisch.P.A..& Kalisch.B.J.(1982). Nursing on prime time television. American Journal of Nurses.82. 264-270.
    · Kwon, K. J., Chu, M. S., & Kim, J. A. (2009).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2), 182-192.
    · Kwon, Y. M., & Yeun, E. J. (2007).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3(3), 285-292.
    · Lee, Y. S. (2011). An analysis of the core elemen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ased on delphi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 Schank, M. J., Weis, D. (2001) Service and Education Share Responsibility for Nurses' Value Development. Journal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17(5), 226-233.
    · Pearcey, P. A., & Elliott, B. E. (2004). Student impressions of clinical nursing. Nurse Education Today, 24(5), 382–387.
    · Yeu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091-1100.
    · 73-79.
  • 자료후기

      Ai 리뷰
      짿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뵖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왿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