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연구계획서 과제 예시 - VR을 활용한 자살 진단 도구 개발 타당성

심학연구법 과목에 활용된 계획서 작성 과제물입니다. 주제는 VR과 자살 진단 도구 개발 타당성을 접목한 것으로, VR 환경을 이용한 진단 도구 개발성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참고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학부 수준의 '계획서' 과제로, 도표나 비쥬얼 자료나 실제 검증된 연구 문제에 초점을 맞춘것이 아니라, 설계왿 계획을 중점으로 한 과제이기 때문에 이점을 꼭 참고하여 구매 결정 하시길 바랍니다.
6 페이짿
한오피스
최초등록일 2021.09.11 최종젿작일 2021.05
6P 미보기
연구계획서 과제 예시 - VR을 활용한 자살 진단 도구 개발 타당성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보기

    소개

    심학연구법 과목에 활용된 계획서 작성 과제물입니다.

    주제는 VR과 자살 진단 도구 개발 타당성을 접목한 것으로, VR 환경을 이용한 진단 도구 개발성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참고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학부 수준의 '계획서' 과제로, 도표나 비쥬얼 자료나 실제 검증된 연구 문제에 초점을 맞춘것이 아니라, 설계왿 계획을 중점으로 한 과제이기 때문에 이점을 꼭 참고하여 구매 결정 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또는 연구가설)
    4. 연구방법
    5. 연구대상
    6. 측정도구
    7. 연구설계
    8. 기대되는 결과
    9. 의의왿 제한점

    본내용

    - 현재 대한민국 사회에서의 자살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문제로, 한국 전체 사망 원인의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10대부터 30대까지의 사망 원인의 1위는 자살이라고 보고되었고, 특히 20대의 경우 과반수를 넘는 전체 사망의 51%가 자살이 원인(통계청 2019)이다. 또한, 급격한 산업화왿 현대화로 인한 가족 구성의 변화(김승권, 2000)로 개인주의가 주요 흐름이 된 현대 사회에서, 자살예방에 주요한 보호 요인인 사회적지지(백진숙, 2012)가 줄어들어, 자살에 대한 직접적인 예방적 개입이 요구되고 있는 반면, 현재까지도 자살 행위의 원인인 자살사고에 대한 통일된 개념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로 임상장면에서도 여러 척도왿 도구를 조합하여 측정할 뿐, 자살 사고를 명확히 측정하거나 판단할 수 있는 단일 척도나 도구가 없는 실정이다 (Harmer 2021; Nock 2008). 또한 기존에 임상장면에서 쓰이고 있는 자살위험과 자해 위험성 측정 도구들만으로는 자살행동을 예측하기란 불충분하며 (Steeg, 2018), Whiting왿 Fazel(2019)가 실시한 자살 위험성 측정 도구의 효과에 대한 메타연구에서도, 측정 도구들의 양성예측도는 38.7%, 민감도는 80%, 특이도는 50% 수준으로 보조적인 수단으로만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 때문에, 더 효과적인 개입과 조치를 위한 새로운 도구의 개발과 타당성 검증은 자살 예방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참고자료

    · 김승권, 장경섭, 이현송, 정기선, 조애저, 송인주 (2000). 한국 가족의 변화왿 대응방안. 서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지연(Kim Jiyeon), 이윤희(Lee, Yunhee). (2021). 비대면 상담심리치료 연구 동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775-805
    · 박수향, 신중일(2016),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8(1):13-19
    · 백진숙, 2012, “청소년의 학껓폭력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왿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11: 63-94.
    · 윤선정, 류미영. (2012). 치료용 기능성 게임에서의 심리 치료적 요소. 한국게임학회 논지, 12(2), 31–41.
    · 최영환, 이은호, 황순택, 홍상황, 김지혜. (2020). 한국어판 벡자살사고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일반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9(2), 111-123.
    · 통계청. (2019). 2019 사망원인 통계 결과.
    · Baccon, L. A., Chiarovano, E., & Macdougall, H. G. (2019). Virtual reality for teletherapy: Avatars may combine the benefits of face-to-face communication with the anonymity of online text-based communication.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2(2), 158–165.
    · Berman, A. L. (2009). Depression and suicide. In I. H. Gotlib & C. L. Hammen (Eds.), Handꠓbook of depression (2nd ed., pp. 510–530). New York, NY: Guilford.
    · Berman, A. L. (2018). Risk Factors Proximate to Suicide and Suicide Risk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Denied Suicide Ideation.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48(3), 340–352.
    · Busch, K. A., Fawcett, J., & Jacobs, D. G. (2003). Clinical correlates of inpatient suicid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4, 14 –19.
    · Brahmbhatt, K., & Grupp-Phelan, J. (2019). Parent-Adolescent Agreement About Adolescent’s Suicidal Thoughts: A Divergence. Pediatrics, 143(2).
    · Coughlan, G., Khondoker, M., Minihane, A.-M., Hornberger, M., Coutrot, A., & Spiers, H. (2019). Toward personalized cognitive diagnostics of at-genetic-risk Alzheimer’s diseas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6(19), 9285–9292.
    · Gould, M. S., Thomas, J. G., Mostkoff, K., Cote, J., Marrocco, F. A., Kleinman, M., & Davies, M.. (2005). Evaluating iatrogenic risk of youth suicide screening program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3(13), 1635–1643.
    · Nock MK, Borges G, Bromet EJ, Cha CB, Kessler RC, Lee S.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Epidemiol Rev 2008;30:133-154
    · Nock, Matthew & Holmberg, Elizabeth & Photos, Valerie & Michel, Bethany. (2007). Self-Injurious Thoughts and Behaviors Interview: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n Adolescent Sample. Psychological assessment. 19. 309-17. 10.1037/1040-3590.19.3.309.
    · Nock, M. K., Park, J. M., Finn, C. T., Deliberto, T. L., Dour, H. J., & Banaji, M. R. (2010). Measuring the suicidal mind: Implicit cognition predicts suicidal behavior. Psychological Science, 21(4), 511–517.
    · Steeg, S., Quinlivan, L., Nowland, R., Clements, C., Cooper, J., Kapur, N., Casey, D., Hawton, K., Ness, J., Carroll, R., Knipe, D., Gunnell, D., Davies, L. & O’Connor, R. C.. (2018). Accuracy of risk scales for predicting repeat self-harm and suicide: A multicentre, population-level cohort study using routine clinical data. BMC Psychiatry, 18(1).
    · Tello, N., Chatard, A., Harika-Germaneau, G., Serra, W. & Jaafari, N. (2020). Forecasting a Fatal Decision: Direct Replication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Suicide–Implicit Association Test. Psychological Science, 31(1), 65–74
    · VR Gamecritic (2016). NBA 2KVR Experience. Retrieved from https://vrgamecritic.com/game/nba-2kvr-experience
    · Whiting, D., & Fazel, S. (2019). How accurate are suicide risk prediction models? Asking the right questions for clinical practice. Evidence-Based Mental Health, 22(3), 125–128.
  • 자료후기

      Ai 리뷰
      짿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뵖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