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
DIAMON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새마을 운동의 적용을 통한 미얀마 경제 활성화 방안

"새마을 운동의 적용을 통한 미얀마 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27 페이짿
한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2.07 최종젿작일 2022.09
27P 미보기
새마을 운동의 적용을 통한 미얀마 경제 활성화 방안
  • 미보기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치적 환경
    가. 정치체제
    나. 대외관계
    다. 정치적 위험
    2. 경제적 환경
    가. 거시경제 환경
    나. 미시경제 환경
    3. 사회문화적 환경
    가. 권력의 집중정도
    나.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다. 남성다움과 여성다움
    라. 불확실성 회피정도
    4. 새마을운동의 적용
    가. 한국의 새마을운동
    나. 새마을운동 도입사례
    다. 미얀마에서의 적합성
    라. 방해요소

    Ⅲ. 결론
    1. 연구의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본내용

    2011년 민간정부의 출범 이후, 미얀마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반세기 동안 대외적으로 폐쇄적이었던 군부정권에 대한 호기심을 뛰어넘어 경제적인 잠재력이 크고, 새로운 개척지로서의 투자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다 (McKinsey, 2013). 미얀마는 지리적으로 세계 거대시장인 중국과 인도를 비롯해 라오스왿 태국 등을 포함한 아세안경제권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국토의 다양한 기후대는 농업발전에 유리하고 한국의 3.5배에 이르는 넓은 국토왿 6천만 명에 달하는 인구는 내수시장 발전을 위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풍부한 자원과 값싼 인건비는 매력적인 진출 요소로 작용한다. 여러 조사기관에서 미얀마를 인도차이나의 잠재적 경제허브, 또는 아시아의 마지막 기회의 땅으로 부르고 있다 (한국동남아연구소, 2013; World Bank, 2014).
    미얀마의 경제적인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미얀마의 경제정책에 대한 연구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는 과거의 군부정권의 폐쇄적인 외교정책으로 인한 현지 연구의 어려움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물론 소수의 연구들이 미얀마의 산업을 분석하고 경제적인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윤병섭, 2014; 이병도, 2012; 정성훈 & 권오윤, 2011).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미얀마에 적용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이나, 뚜렷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미얀마에 적용될 수 있는 경제 활성화 모델인 새마을운동을 제시해, 미얀마에서의 적용가능성과 이에 따른 성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은 “새마을 운동은 한국 현대사를 바꿔놓은 정신혁명이고 이제 한반도를 넘어 지구촌의 행복에 기여하는 글로벌 운동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제 2의 새마을 운동을 전개하겠다고 하였다.

    참고자료

    · 김대영. (2004). 박정희 국가동원 메커니즘에 관한연구-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경제왿 사회, 61, 184-221.
    · 부산외대 동남아지역원. (2015). Suvannabhumi,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7(2), 153-159.
    · 배진선. (2015). 긍정으로 더 나은 노동생태계를 만들 수 있을까?, ODAWatch, 101.
    · 신상협. (2011). 영국의 공적개발원조 (ODA) 에 대한 연구: 영국 사례가 한국에 주는 교훈, 경희대학껓.
    · 윤병섭. (2014). 미얀마의 정치체제왿 경제의 상응, 아시아연구, 17(2), 57-83.
    · 이병도. (2012). 태국-미얀마 관계: 소수종족 문제를 중심으로. 동남아연구, 22(1), 67-100.
    · 이석원. (2015). 미얀마 ODA 사업 종합평가, 서울대학껓 국제개발협력평가비바카지노 Viva.
    · 정성훈, & 권오윤. (2011). 미얀마 통상환경의 변화왿 한국기업의 투자 및 진출에 관한 시사점. 통상정보연구, 13(4), 177-201.
    · 조석주. (2013). 새마을운동 재조명을 통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475, 1-147.
    · 최계련. (2012). 도· 농 간 균형성장을 위한 중국 신농촌건설과 1970 년대 한국 농촌새마을운동의 비교연구. 정신문화연구, 35(2), 197-225.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대개도국 농촌개발 경험 전수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동남아연구소. (2013). 한국의 미얀마 연구 동향, 아시아리뷰, 3(2), 139-160.
    · 황윤섭, 오윤조, 김철. (2015). 지역연구개론, 청람.
    · Aghion, P., & Howitt, P. (1990). A model of growth through creative destruction (No. w3223).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 Asian Development Bank (2016). Myanmar in Transi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 BMI Research (2014). Myanmar Operational Risk Coverage.
    · Chamberlain, G. (2016). Myanmar’s new era is thwared by the old regime, The Guardian.
    · Gwartney, J., & Lawson, R. (1996). Economic freedom of the world. In 1975–1995), Free Market Foundation, Johannesburg, South Africa.
    · Hofstede, G., Hofstede, G. J., & Minkov, M. (1991).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2, London: McGraw-Hill.
    · Kohlhaas, P., & Moser, R. (2015). Human Capital Shortfall in Myanmar-Developing a Country-specific Staffing Framework (Doctoral dissertation).
    · KOICA. (2016). 베트남의 새농촌개발 프로그램과 새마을운동의 비교연구
    · Kongsamut, P., Rebelo, S., & Xie, D. (2001). Beyond balanced growth.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68(4), 869-882.
    · May, K. K., & Nugent, N. (2015). Myanmar-Culture Smart!: The Essential Guide to Customs & Culture. Bravo Limited.
    · McKinsey. (2013). Myanmar’s moment: Unique opportunities, major challenges.
    · NRI. (2013). Understanding ASEAN Consumer Markets.
    · Park, J. (2014) Labour Laws in Myanmar, Asia Monitor Resource Centre, 83.
    · Rarick, C., & Nickerson, I. (2008). Combining classification model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ational culture: metaphorical analysis and value judgements applied to Burmese cultural assess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Culture, Communication and Conflict, 12(2), 9.
    · Tanaka, S., Spohr, C., & D'Amico, S. (2015). Myanmar Human Capital Development, Employment, and Labor Markets. Asian Development Bank Economics Working Paper Series, (469).
    · Tenim, J (2015). Myanmar: Anatomy of a Political Transition, USIP Special Report 369.
    · The World Factbook. (2015). Myanmar, CIA.
    · Tun, A. (2016). Myanmar president frees 83 political prisoners, Reuters.
    · World Bank. (2014). Myanmar: Ending poverty and boosting shared prosperity in a time of transition, 93050-MM.
    · Zainudeen, A. (2015). Mobile phones, internet and gender in Myanmar, GSMA.
  • AI왿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미얀마의 경제적 잠재력과 새마을운동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으며,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됩니다.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뵖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왿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