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간호연구계획서_20대 여성의 신체상과 섭식 태도의 관련성 연구

"간호연구계획서_20대 여성의 신체상과 섭식 태도의 관련성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13 페이짿
한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5.30 최종젿작일 2022.04
13P 미보기
간호연구계획서_20대 여성의 신체상과 섭식 태도의 관련성 연구
  • 미보기

    목차

    1.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가설
    4) 연구 변수
    5) 변수들에 대한 정의

    2. 연구방법
    1) 설계 형태
    2) 연구 대상
    3) 조사 방법
    4) 측정 항목
    5) 분석 방법
    6) 연구 윤리

    3. 참고문헌

    본내용

    1) 연구 필요성
    (1) 사회적 풍토
    현대사회는 사람의 내적인 아름다움을 중요시하던 과거왿는 다르게 외적인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외모지상주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외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사회 풍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Van Der Velde, 1985). 또한 이러한 사회 풍조는 대중매체에 고스란히 반영되게 된다.
    김예솔란, 이미나(2020)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중매체에 자주 노출될수록 신체상에 대한 불만족이 증가하였으며, 다이어트를 하려는 의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시각적 소셜 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의 이용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여성의 신체상 왜곡에 미치는 위험성이 더 커질 것이며 이는 체중조절을 위한 부적절한 섭식 태도를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전소정, 성용준, 양은주, 2018). 이처럼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풍조가 반영된 미디어에 등장하는 이상적 체형은 신체상을 왜곡하게 하며 이는 혼란한 섭식 태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강할수록 신체상에서 신체 불만족 수준이 높아지고 이상적인 신체왿의 괴리감이 커진다고 보고했으며(Jung & Forbes, 2007), 결과적으로 다양한 신체적, 정서적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한인경(2008)의 연구에서 지나치게 마른 몸매를 선호하는 사회적인 현상으로 인한 체중 감량에 대한 스트레스, 우울 증상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폭식증이나 거식증과 같은 식이장애 증상도 훨씬 크게 나타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2) 신체상
    신체상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가지는 느낌이나 태도를 말하며, 이에 불만족하거나 만족할 수 있다(박수정, 손정락, 2002). 사람들은 자신이 느끼는 본래 신체상과 이상적인 신체상이 상이할 때 갈등을 느끼고 신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된다(박수정, 손정락, 2002).

    참고자료

    · 김명숙. (2015).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왿 채소 섭취 행동 변화 단계별 식이 효능감, 비만 스트레스, 비만 관련 삶의 질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1호, 65-74.
    · 김연정, 문진아, 왕수경, “대학생들의 다이어트 식습관 실태 조사.”, 대전대학껓 기초과학연구소 학술 저널, pp.117-128, 2004.
    · 김옥수. (2002). “여대생들의 비만도, 신체에 대한 태도 및 식이 조절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4(2), 256-264.
    · 김예솔란, 이미나. "미디어 노출이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 자기대상화이론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6.4 (2020): 359-370.
    · 김찬회, 이중원, 곽인실. (2011). “비만 여성의 다이어트 유형 비교 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6(1), 145-154.
    · 문정신. "공적 자기의식 및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가치의 내재화왿 신체상과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 이화여자대학껓 댿학원, 2002. 서울
    · 박수정, 손정락. "인지 행동치료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2002): 335-351.
    · 손은정. "성인기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신체상 및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2011): 357-377.
    · 심경옥(2006).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왿 대인관계 및 학껓적응과의 관계.” 아주대학껓 석사학위논, 수원.
    · 이재천, 김영란. "보문 : 미용 치료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지 6.1 (2010): 57-62.
    · 이민규(1998), “한국판 식사태도검사-26(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표준화 연구”, 정신신체의학 6(2): 155-175
    · 임은진, 하준호, 이계정.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가 다이어트 행동 및 외모 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1 (2017): 501-511.
    · 임재연, 라혜복. (2007). “서울지역 건강 관련 전공 여대생의 체중조절 및 관련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3), 247-258.
    · 전소정, 성용준, 양은주. (2018). “소셜 미디어 이용 행동과 여성의 신체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1), 69-89.
    · 최학진. (2015). “한·일 여대생들의 체형 인식과 다이어트 방법 및 운동 습관 비교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2(6), 927-939.
    · 한인경. "성인 여성의 성격유형이 건강 통제 행동 및 비만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2.4 (2009): 358-365.
    · Crocker, J., & Wolfe, C. T. (2001). Continge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 593-623.
    · de Zwaan, M., Mitchell, J. E., Seim, H. I., Speaker, S. M., Pyle, R. L., Raymond, N.C., Crosby, R. B. (1994). Eating related and general psychopathology in obese females with binge eating disorder. Int J Eating Dis, 15(1), 43- 52.
    · Franzoi, S. L., & Koehler, V. (1998). Age andgender differences in body attitudes: A comparison of young and elderly adults. IntJ of Aging Hum Dev, 47(1), 1-10.
    · Jung, J., & Forbes, G. B. (2007). Body dissatisfaction and disordered eating among college women in Chin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ntrasting predictions from sociocultural and feminist theorie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1, 381-393.
    · Moses, N., Banilivy, M. M., Lifshitz, F. (1989). Fear of obesity among adolescent girls. Pediatrics, 83, 393- 398.
    · Pingitore R. Spring B., & Garfield D (1997). Gender differences in body satisfaction. Obes Res, 5(5), 402-409.
    · Van Der Velde, C. D. (1985). Body images of one's self and others: developmental and clinical significan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2, 527-537.
    · Wardle, J., Haase, AM., & Steptoe, A. (2006).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0(4), 644-651.
    · 박근영, & 오지연. (2020). 학과(전공) 분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 황수경. (2017). 제 7차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2008). Obesity Clinical. Korea medical book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웹사이트.
    · http://www.hira.or.kr/re/stcIlnsInfm/stcIlnsInfmView.do?pgmid=&sortSno=162 2022.04.12. 접속
  • AI왿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본 연구는 20대 여성의 신체상과 섭식 태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서술적 상관성 연구로, 체계적인 연구 방법과 분석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 자주묻는질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뵖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비바카지노 Viva의 저작권침해 신고비바카지노 Viva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왿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왿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껓,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왿 같이 작업을 도왿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