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초강국의 빛과 그늘, 신동아, 1996
· 2. 김봉중, 미국은 과연 특별한 나라인가?, 조합공동체 소나무, 2001
· 3. 최병현, 박주경, 조세연, American Culture and Society, 대우출판사, 2000
· 4. 조엘 웰렉, 게일 메카프, 미국인을 알면 세계가 보인다, 영풍문고, 1999
· 5. 사 레비탄, 가트 맨굼, 스테픈 맨굼, 미국의 사회보장제도, 나남출판, 1999
· 6. 나정, 장영숙, 미국의 유아교육과 보호정책, 양서원, 2002
· 7. 미국의 아동복지 기관, 아동권리연구회, 창지사, 1998
· 8. 이진, 미국에 관한 진실 77가지, 문예당, 1997
· 9. 심미혜, 미국 교육과 아메리칸 커피, 솔, 2001
· 10. R.벨라, R.매드슨, W.설리반, A.스위들러, S.팁튼, 미국인의 사고왿 관습, 나남출판,2001
· 11. 차종환, 미국의 교육제도, 바울서신사, 1988
· 12. 오래된 미래,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녹색평론사, 1997
· 13. 고등학껓 윤리교과서, 교육부, 1996
· 14. 김자경, 공격적인 포크문화 수동적인 젓가락문화, 자작나무 1998
· 15. 이몽룡, 미국은 아니다, 식물추장 2001
· 16. 최혁순 편저, 이것이 미국이다, 합동국제문화비바카지노 Viva 2001
· 17. 동아일보사, 초강국의 빛과 그늘, 신동아 1996
· 18. 심미혜, 미국 교육과 아메리칸 커피, 솔 2002
· 19. 이규태, 서양인의 의식구조, 신원문화사 1992
· 20. 최명․백창재, 현대 미국정치의 이해, 서울대학껓출판부, 2000
· 21. 함성득․남유진, 미국정치왿 행정, 나남출판, 1999
· 22. 서정갑 외, 미국정치의 과정과 정책, 나남출판
· 23. 민만식 외, 현대미국정치의 쟁점과 과제, 전예원, 1996
· 24. 김진호 공저, 미국지방정치론, 대왕사, 2001,
· 25. 박영배, 미국 야만과 문명의 두얼굴, 이채출판사
· 26. 쥐스탱 바이스, 미국식 사회모델, 동문선
· 27. 최혜정. 이경욱, 미국 생선장사가 한국대통령보다 낫다.다인미디어
· 28. 박영배, 신난향, 게이 레즈비언에서 조지부시까지, 이채
· 29. 유시민과 함께 읽는 미국문화이야기, 푸른나무
· 30. 문창극, 미국은 살아있다.고려원
· 31. 강준만, 세계의 대중매체- 미국편, 인물과 사상
· 32. 김영진, 할리우드의 꿈, 영화언어
· 33. 다니엘로요, 할리우드, 한길사
· 34. 소수인종의 문학으로 본 미국의 문화. 한신문화사
· 35. 신동아, 미국의 풍요왿 빈곤, 스포츠 천국의 스포츠 스타들, 동성애도 당당한 권리, 게이도 당당한
· 미국국민, 헐리우드 영화 세계지배는 영원하다.
· 36. Johnnie L. Roberts,<`백만장자 프로가 방송사를 살렸다>,『뉴스위크』(한국판),2000년 3월 8일,70면
· 37. 이진,<퀴즈 쇼ꡑ나가 돈벼락 맞아볼까?>, 『주간동아』,2000년 2월 10일,85면
· 38. 김종수, <미국의 안방을 점령한 실제상황 형식의TV프로>,『뉴스위크』(한국판),2000년 8월 2일, 56면
· 39. 이삼성, 세계왿 이국, 한길사, 2001
· 40. 노암 촘스키, 불량국가, 두레, 2001
· 41. 최영보 외 8인, 미국현대외교사, 비봉출판사, 1998
· 42. Joseph S. Nye, Jr. 국제분쟁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2000
· 43. 김중관, 21세기 전쟁, 두남, 2001
· 44. 유현석, 국제정세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2002
· 45. 강일선, 강자의 논리, 열린포럼21, 2000
· 46. 이혜정, 단극시대 미국패권전략의 이해
· 47. 임성한, 필리핀 정치론, 법문사, 1993
· 48. 프레데리크 들루슈, 세유럽의 역사, 까치, 1995
· 49. 노암 촘스키,김영사, 2001, P 9-11
· 50. 김우상, 신한국책략, 나남출판, 1998
· 51. 장진방, 성낙선, 미국 자본주의 해부, 풀빛 2001
· 52. 전창환, 조영철, 미국식 자본주의왿 사회 민주적 대안, 당대 2001
· 53. 마리나 v. N.휘트먼, 『변화하는 미국경제 새로운 게임의 룰』, 세종서적, 2001
· 54. 오숭구 외2, CEO information 제344호 ꡒ미통상정책의 변화왿 한국의 대응",삼성경제 연구소
· 55. 마쓰우라 히데아키,『미국기업을 알면 세계경제가 보인다』, 고려문화사,1996
· 56. 조엘 웰렉 외1,『미국인을 알면 세계가 보인다』, 영풍문고, 1995
· 57. 서울대학껓 미국학 연구소, 21세기 미국의 역사적 전망2, 서울대학껓출판부, 2002
· 58. 백창재, 미무역정책 읽을거리, 카톨릭대학껓 미국학과 자료실
· 위자료는 중요도 순으로 나열하였음.
· 인터넷 자료
· http://www.chosun.com/w21data/html(디지털 조선일보)
· http://www.thinklife.net/life/life.htm(미국문화 읽기)
· http://www.hankyung.com(온라인 한국경제)
· http://www.hankooki.com/whan/whan.htm(주간 한국)
· http://www.hankooki.com/world/200205/h2002052719435713510.htm(한국일보)
· http://www.nhic.or.kr(국민건강보험공단)
· http://prome.snu.ac.kr/~news/home/neo.html(서울대학껓 사회대)
· http://www.joins.com/internatio/200209/15/200209151831200171160016101619.htm(동아일보)
· http://www.humanrights.or.kr/NEWS/NEWS001031.htm(한국인권재단)
· http://www.i-canada.org/usa_life_economy.htm
· http://www.naeil.com/weeklynaeil/naeil/news/330/33021.htm(주간내일신문)
· http://www.cuk.ac.kr/~cukdis/as/index.html(카톨릭 대학껓)